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9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9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 2025 겨울방학 과학실험 탐구보고서 ★ 주제 : ( 별자리 관측 / 달의 위상 변화 ) |
소속 | 봄내중학교 | 학년 | 2학년 |
학번 | 2402 | 성명 | 고준 |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9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달의 운동
달을 정복한 우주인들
1959년 1월, 소련이 발사한 루나 1호가 최초로 달 궤도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에도 소련은 경쟁자인 미국을 항상 앞서 나갔다. 이것은 미국의 자존심을 건드리기에 충분했다.

위기의식을 느낀 미국은 아폴로 계획을 추진했고, 그 결과 1969년 7월 20일(한국 시간 7월 21일)에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했다. 아폴로 11호에 탑승했던 암스트롱과 올드린은 달에서의 임무를 완수한 후 무사히 지구로 귀환했다. 인간이 달을 정복한 최초의 사건이었다.
아폴로 11호 이후, 1970년대까지도 이러한 유인 탐사 형태가 이어졌다. 1971년 발사된 아폴로 14호는 앨런 셰퍼드 주니어 등 3명의 우주인을 태우고 발사되어 달 착륙에 성공했다. 그리고 아폴로 17호는 유진 서난 등 3명의 우주인을 태우고 1972년 12월에 발사되어 달에 무사히 착륙했다. 그러나 아폴로 17호 이후로는 더 이상 사람을 태운 달 탐사선을 보내지 않았다. 왜 그랬을까?
그동안 경쟁자였던 소련이 경쟁을 포기하게 되었고, 미국 역시 아폴로 계획 이후 재정적, 정치적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달 탐사 계획도 침체될 수밖에 없었다.

아폴로 11호
미국의 아폴로 계획에 의해 아폴로 11호는 1969년 7월 16일 지구를 떠나 20일 오후 8시 17분 40초(협정 세계시)에 달의 표면에 착륙했다. 인류가 처음으로 지구가 아닌 다른 천체에 발을 내디딘 것이다.
한쪽 얼굴만 보여 주는 달
지구에서 달까지의 평균 거리는 38만 4,400km이다. 그리고 달의 실제 크기는 지구의 약 4분의 1(반지름 1,740km)이다. 우리가 땅에서 볼 때는 태양의 크기와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 태양과 비교하면 상대도 되지 않을 만큼 작다. 그러나 이 정도의 크기도 다른 행성의 위성에 비하면 엄청나게 큰 것이다.
달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것처럼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27.3일이다. 그런데 보름달이 점점 기울었다가 다시 처음으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은 29.5일이 걸린다. 이러한 차이는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지구도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즉, 아래 그림처럼 처음에 보름달이었다가 달이 공전해서 원래의 위치에 왔을 때는 지구가 공전하여 위치가 바뀌기 때문에 달이 조금 더 움직여야 비로소 보름달이 될 수 있다.

달의 항성월과 삭망월
한편 달은 지금까지 한 번도 자신의 뒷모습을 보여 주지 않았다. 아니 보여 줄 수가 없었다. 그것은 달의 자전 주기가 27.3일로 공전 주기와 같기 때문이다. 즉, 달의 한쪽 면이 지구를 향해 있는 채로 지구 주변을 한 바퀴 도는 것과 같은 상황이 벌어지므로, 지구에 있는 우리는 달의 한쪽 면만 볼 수밖에 없다. 조선 시대 선비들이 바라보던 달, 그리고 지금 우리가 바라보는 달이 항상 같은 모습이었다는 이야기다.
최근에는 우주 개발 계획에 따라 발사된 인공위성이 달의 뒷면을 탐사한 덕분에 사진이나 영상으로 볼 수 있다.

달의 뒷면
삭망월
달의 모양 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 달의 공전 주기로 약 29.5일이 걸린다.
보름달일 때를 망이라 하고 달이 보이지 않을 때를 삭이라 하므로 삭망월이라고 한다.
항성월
지구가 멈춰 있다는 가정하에 달이 지구를 한 바퀴 돌아 제자리로 왔을 때 걸린 시간. 즉, 달의 공전 주기로 27.3일이 걸린다. 그런데, 이 공전 주기를 계산할 때 현재 달이 있는 곳 부근에 어떤 항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달이 다시 그 자리로 돌아왔을 때까지 걸린 시간을 계산하기 때문에 항성월이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달의 운동 (상위5%로 가는 지구과학교실2, 2008. 5. 27., 신학수, 이복영, 백승용, 구자옥, 김창호, 김용완, 김승국)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9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https://kko.kakao.com/EpLjCgiZ60
봄내중학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공지로200번길 36
map.kakao.com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9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과학실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20 (by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0) | 2025.03.30 |
---|---|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8 (by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0) | 2025.03.23 |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7 (by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0) | 2025.03.17 |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6 (by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0) | 2025.03.13 |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5 (by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