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5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5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 2025 겨울방학 과학실험 탐구보고서 ★ 주제 : ( 별자리 관측 / 달의 위상 변화 ) |
소속 | 봄내중학교 | 학년 | 2학년 |
학번 | 2402 | 성명 | 고준 |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5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지심시차
[ geocentric parallax ]
천체가 지심과 관측점에 대해서 만드는 각. 즉 관측점에서 보이는 천체의 방향과 지심에서 보는 방향과의 차. 항성에 대해서는 지심시차가 무시될 수 있으나, 태양계 천체에서는 무시되지 못한다. 천체가 천정일 때는 0이며, 지평선 방향일 때는 최대가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지심시차 [geocentric parallax] (천문학 작은사전, 2002. 6. 20., 「월간 하늘」 편집부)
일주광행차
[ diurnal aberration ]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5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광행차
[ aberration ]
광행차는 관측자의 속도에 따라 천체의 위치가 달라 보이는 현상이다(그림 1 참조). 즉, 관측자가 정지해 있을 때와 비교하면 관측자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천체의 위치가 기울어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예를 들어, 지구가 1년동안 공전하는 경우 지구가 움직이는 방향이 주기적으로 달라지는데 이에 따라 별의 겉보기 위치가 주기적으로 달라져 보이게 된다. 광행차는 연주시차(parallax)와는 다른 현상이다. 연주시차는 아주 멀리 있는 천체에 고정되어 있는 좌표계에서 지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겉보기 위치가 달라보이는 것이고 광행차는 관측자의 상대 속도와 관련이 있기기 때문이다. 광행차는 태양중심설(heliocentric cosmology)의 증거로서 연주시차를 찾으려던 천문학자들에 의해 1600년대에 발견되었으며, 한참 후에야 브래들리(J. Bradley)가 처음으로 두 현상이 다른 것임을 밝혔다. 이 현상은 그 후 에테르(aether)와 관련되어 많은 논쟁을 유발하였고 아인슈타인(A. Einstein)이 특수상대성이론(theory of special relativity으로 완벽하게 설명하게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광행차 [aberration] (천문학백과)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5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봄내중학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공지로200번길 36
map.kakao.com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5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과학실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7 (by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0) | 2025.03.17 |
---|---|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6 (by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0) | 2025.03.13 |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4 (by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0) | 2025.03.04 |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3 (by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0) | 2025.02.28 |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2 (by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0)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