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7 (by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고준의 꿈2025. 2. 14. 14:12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7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7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2025겨울방학 과학실험 탐구보고서★ 주제: (별자리 관측/달의 위상 변화)
소속
봄내중하교
학년
1학년
학번
1101
성명
고준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7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일주운동
[diurnalmotion,日周運動]
요약 : 지구의 자전에 따른 천체의 겉보기운동.
일주운동에 의해항성은 하늘의 극 둘레를 소원(小圓) 또는 대원(적도상의 항성에 한하여)을 그리며, 1항성일(一恒星日:23시간 56분)의 주기로 일주한다. 일주운동에 의해서 관측지의 위도의 여각(餘角)보다 작은적위(赤緯)를 가진천체는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지만, 이보다 큰 적위를 가진 천체는지평선아래로 지는 일이 없고,북반구에서는 북극의 주위를 도는주극성(周極星)이다. 적도상에서 관측하면 주극성은 없으며, 북극에 들어가서 관측하면 모든 항성은 주극성이다.
이 밖에 천체의 겉보기의 위치에 1일 주기의 변동을 주는 현상으로 지심시차(地心視差:日周視差)와 일주광행차(日周光行差)가 있다. 지구에 비교적 가까운태양계내의 천체는 지평선상에서 보았을 때와 천정(天頂)에서 보았을 때와는 지평시차(地平視差)에 의하여 항성에 대한 상대 위치에 차가 생긴다. 일주 광행차는 지평(地平)이자전에 의하여 유한한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인데, 그 진폭은 회전속도가 최대인 적도상에서 0.319″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