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실험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5 (by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고준의 꿈 2025. 2. 11. 16:59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5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5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2025 겨울방학 과학실험 탐구보고서 
주제 : ( 별자리 관측 / 달의 위상 변화 )
소속 봄내중하교 학년 1학년
학번 1101 성명 고준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5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시차

[ parallax음성듣기 ,  ]

요약 관측자가 어떤 천체를 동시에 두 지점에서 보았을 때 생기는 방향의 차.

연주시차() ·일심()시차는 지구에서 본 천체의 방향과 태양에서 본 방향과의 차이이며, 일주()시차 또는 지심()시차는 태양 ·달 ·행성을 지구의 중심에서 본 경우와, 지구표면에 있는 관측자가 본 방향의 차이를 말한다. 일주시차의 값은 목적하는 천체가 지평선에 있을 때 가장 크므로 지평시차라고도 하는데, 이 천체에서 본 지구의 시반지름과 같다. 즉, 달의 지평시차는 각도로 57'인데, 이것은 달에서 본 지구의 지름 114'의 반이다. 연주시차는 삼각시차라고도 하며, 항성의 거리를 재는 데 중요하다.

지구의 반지름은 달이나 가까운 행성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선()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항성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선으로는 너무 짧다. 그러나 지구의 공전궤도 위에서 태양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인 두 점 간의 거리, 즉 태양 ·지구 간의 2배 거리는 항성의 거리측정 기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이 연주시차 측정의 원리이다. 연주시차의 값은 가장 가까운 항성이라도 1"보다 작아, 가장 가까운 별인 센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가 0.76"이다. 따라서 거리가 수백 광년 이상인 별에 대해서는 그 값이 너무 작아 측정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별의 연주시차는 거리가 아주 먼 어두운 별을 비교성()으로 하여 밝고 가까운 별에 대해서만 측정한다. 극히 미소한 각()을 측정하는 것이므로 초점거리가 길고 안정된 고정식 사진망원경을 사용하며, 주의깊게 조정하고 관측도 면밀하게 해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시차 [parallax, 視差]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5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https://kko.kakao.com/K7YPB0iuWv

 

봄내중학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공지로200번길 36

map.kakao.com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5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