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1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1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 2025 겨울방학 과학실험 탐구보고서 ★ 주제 : ( 별자리 관측 / 달의 위상 변화 ) |
소속 | 봄내중학교 | 학년 | 1학년 |
학번 | 1101 | 성명 | 고준 |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1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달의 위상변화
그믐달
달은 스스로 빛을 발하지 못하고 태양으로부터 빛을 받아 반사하기 때문에 달의 겉보기 밝기와 그 모습은 태양·달·지구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변한다. 지구에서 보아 달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 있을 때 달은 그 뒷면만 햇빛을 받아 빛나고 지구에서 보이는 부분은 어둠에 잠긴다. 이때를 삭(또는 신월)이라고 한다. 달이 태양으로부터 각거리 90°떨어졌을 때에는 월면의 서쪽 반만 보이는데, 이때를 상현(上弦)이라고 하며, 180°떨어졌을 때, 즉 달과 태양이 지구를 사이에 두고 반대쪽에 위치할 때에는 달의 전면이 햇빛을 받아 빛나는데, 이를 망(또는 만월)이라고 한다.
또한, 상현과 반대로 달의 방향이 태양으로부터 서쪽으로 90°떨어지면 월면의 동쪽 반만 보이는데, 이때를 하현(下弦)이라고 한다. 달의 삭망의 정도는 삭의 순간부터 경과한 시간을 일단위(日單位)로 나타낸 월령(月齡)으로 나타낸다. 삭에서 삭까지의 시간을 삭망월(朔望月)이라고 하며, 그 주기는 평균 약 29.53일이다.
따라서 만월 때의 월령은 거의 15°에 가깝다. 월면에서 빛나고 있는 부분과 어두운 부분과의 경계를 명암계선(明暗界線)이라고 한다. 이것은 달을 둘러싸는 하나의 대원(大圓)으로, 이것을 지구에서 볼 때는 대개 타원이 된다. 한편, 달에서 바라본 지구는 지구에서 본 달보다 4배나 크게 보이며, 습기를 머금은 대기에 둘려 있어서 청색으로 아름답게 빛난다. 달에서는 태양과 별들이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서서히 움직인다.
그러나 지구만은 달의 하늘 한 모서리에 걸려 움직이지 않으며, 태양과의 위치에 따라서 그 모습이 초승달처럼 되었다가 보름달처럼 되기를 반복한다. 뿐만 아니라 지구가 서서히 자전을 하면 구름과 육지, 바다의 모습이 신비롭게 변해간다.
[네이버 지식백과] 달의 위상변화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1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https://kko.kakao.com/srATnzu0_e
봄내중학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공지로200번길 36
map.kakao.com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1
(StarWalk2 - 과학과 사람들 스타체이서)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과학실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3 (by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0) | 2025.02.28 |
---|---|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2 (by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0) | 2025.02.25 |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10 (BY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1) | 2025.02.21 |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9 (by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0) | 2025.02.18 |
천체 관측(연주시차 / 일주시차) 및 달의 위상 변화 관측-8 (by 봄내중학교 - 봄내중 고준)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