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 과학/2023 영재교육원

춘천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과학 2023 - 생활 속 문제 융합적으로 해결하기 : 자기부상열차 / 풍력 자가발전기 (by 성림초등학교 고준)

고준의 꿈 2023. 9. 13. 21:28

춘천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과학 2023

생활 속 문제 융합적으로 해결하기 : 자기부상열차 / 풍력 자가발전기

성림초등학교 고준

 

 

 

 

 

 

 

춘천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과학 2023

생활 속 문제 융합적으로 해결하기 : 자기부상열차 / 풍력 자가발전기

성림초등학교 고준

 

 

 

 

 

 

 

초전도체

[ superconductor ]

초전도 전이 온도(superconducting transition temperature, Tc)라고 하는 특정 온도 이하에서 모든 전기 저항을 상실하는 물질을 초전도체(superconductor)라고 하며, 이 현상은 1911년에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오너스(H. K. Onnes)에 의해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일반적으로 구리나 은과 같은 금속성 도체(metallic conductor)의 전기 저항은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 그러나 초전도체의 경우에는 Tc 이하로 냉각되면 갑자기 저항이 0인 완전 도체(perfect conductor)가 되고, 한 번 발생한 전류는 에너지 손실 없이 무한히 흐르며, 특징적으로 외부의 자기장(magnetic field)을 배척하는 마이스너 효과(Meissner effect)가 나타난다.

1986년에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구조를 갖는 몇 가지 구리 산화물 세라믹(ceramic) 물질의 Tc가 90K(-183℃) 이상임이 밝혀졌는데, 이러한 물질을 고온 초전도체(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라고 부른다. 이 물질의 발견은 지난 30년 동안 가장 중요한 과학 발전 중의 하나로서, 초전도체는 화학, 물리, 재료 과학 분야에서 수많은 연구를 촉진해 왔으며, 향후 초고속 컴퓨터, 자기 부상 열차, 에너지 손실 없이 송전하는 전력선 개발을 이끌어 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초전도체 [superconductor] (화학백과)

춘천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과학 2023

생활 속 문제 융합적으로 해결하기 : 자기부상열차 / 풍력 자가발전기

성림초등학교 고준

 

 

 

 

 

 

 

 

춘천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과학 2023

생활 속 문제 융합적으로 해결하기 : 자기부상열차 / 풍력 자가발전기

성림초등학교 고준

 

 

 

 

 

 

 

https://kko.to/GFJRVzIRvx

 

성림초등학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지석로 47

map.kakao.com

 

춘천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과학 2023

생활 속 문제 융합적으로 해결하기 : 자기부상열차 / 풍력 자가발전기

성림초등학교 고준